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38 (2024)
pp.153~173

DOI : 10.15532/kaja.2024.02.138.153

日韓医師の疾患状態の伝達ストラテジーに関する対照研究 ― 疾患状態の種類を考慮して ―

孫朱彦

(高麗大学 中日語文学科 博士修了、日本語学・教育)

본고에서는 환자 질환상태에 따른 의사의 전달전략에 대해 일본과 한국의 의료드라마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일본과 한국의 질환상태 전달 전략의 유형적 특 징을 밝히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의사의 전달전략은 크게 전문가형, 조 력자형, 상담가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먼저 낙관적인 정보를 전달할 때의 의사의 전략 사용을 알아보면, 전문가형 전략의 전략사용은 일본의 ‘사실 전달・확인’, 한국의 ‘방향 설정’의 사용이 특징적이었다. 조력자형 전략사용에서는 일본의 ‘주목요청’, 한국의 ‘시 청각자료 이용’이 두드러졌다. 상담가형 전략사용에서는 양국 모두 ‘안심 시키기’전략 이 많이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비관적인 정보를 전달할 때의 전략사용을 알아보면, 전 문가형 전략의 사용에서 ‘사실 전달・확인’이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다음으로 ‘의학적 추측’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일본은 긍정적 뉘앙스의 어휘 선택, 한국은 부정적 뉘앙스 의 어휘 선택이 특징적이었다. 조력자형 전략의 사용에서는 양국 모두 ‘이해하기 쉬운 말로 바꾸어 말하기’가 많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담가형 전략사용에 있 어서는 일본은 ‘안심 시키기’, 한국은 ‘사죄・관계수복’의 사용이 눈에 띄었다. 이상의 전 략 사용양상을 통해 양국 모두 질환 정보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문가형의 ‘사실 전달・확 인’전략이 많이 사용되고, 상담가형 전략에는 다양한 하위 전략이 사용된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차이점으로는 일본은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입장의 전문가적 전략사용, 한국은 보다 권위적이나 한편으로는 환자 측의 감정에 다가가는 전략사용이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의료장면에 대한 언어문화 이해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언어문화 이해,의료담화,의사의 전략,질환상태 전달  , Understanding Language and Culture,medical conversations,doctors' strategies,disease transmission

A Contrast Study on the Disease State Transmission Strategies of Japanese and Korean Doctors : Considering the Types of Disease States

Son, Joo Eon

(高麗大学 中日語文学科 博士修了、日本語学・教育)

In current paper, doctors' delivery strategies according to disease conditions were examined using Japanese and Korean medical dram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tangible characteristics of the strategies for delivering disease conditions in Japan and Korea. The delivery strategies of the doctors were largely divided as expert types, helper types, and counselor types. For the optimistic use of information delivery strategies, the characteristic of the expert strategy was using ‘fact delivery and confirmation' in Japan and ‘direction setting' in Korea. For the helper type, Japan's ‘attention request’ and Korea's ‘use of auditory data’ were prominent. For the counselor type, the ‘relief’ strategy was used a lot in both countries. For the strategy used for conveying pessimistic information, ‘fact delivery and confirmation’ was the most used for the expert type, followed by ‘medical speculation’. For the helper type, ‘speak in other words’ was used a lot in both countries. For the counselor type, the use of ‘relief’ in Japan and ‘apology and restoration’ in Korea was noticeable. Using the above strategy, it was possible to know the use of a strategy in a neutral position in Japan and the strategy that approaches the patient's emotions while Korea is authoritativ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language and culture on medical scenes.

孫朱彦

(高麗大学 中日語文学科 博士修了、日本語学・教育)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