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36 (2023)
pp.113~131

DOI : 10.15532/kaja.2023.08.136.113

日韓接触場面におけるLINEチャットの終結部に関する研究 ― 終結パターン、構成要素、表現形式に注目して ―

李涓丞

(お茶の水女子大学 人間文化創成科学研究科 博士後期課程、比較社会文化学専攻)

본 연구는 일한접촉장면의 일본어에 의한 라인 채팅의 종결부의 특징을 밝히기 위해, 일본어모어화자(이하, JNS)와 한국인일본어화자(이하, KNS)가 접촉장면에서 어떻게 종 결부를 구성하고 있는지 종결 패턴과 구성요소, 표현형식에 주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종결 패턴에서는 종결부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예가 관찰되어 라인채팅의 특 징이 보이기도 하였지만, 이문화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접촉장면인 만큼 오해가 생 기지 않도록 일본어/한국어 모어장면에 비해서 종결부를 구축하며 채팅을 종료하는 경향 이 있었다. 구성요소에서는 JNS와 KNS가 공통적으로 ⑫응답과 ④감사를 많이 사용하는 경향을 보여 응답과 감사가 채팅 종료를 예고하는 종료 시그널의 기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현형식에 있어서는 종결부의 전체 구성요소 중 3할이 문자가 아닌 스티커 형식으로 발신되고 있었다. 특히 마지막 메시지에서는 JNS, KNS 둘 다 스티커 형식을 문자 형식보다 2배 이상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 메시지에서 나타나는 ⑫ 응답과 ⑪헤어짐의 인사는 대부분 스티커 형식으로 발신되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 다. 스티커는 시각적으로 자신의 의도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장면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참고한다면 JNS와 KNS가 실제 접촉장면에서 원활하게 채팅을 종료하 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일한접촉장면,라인채팅,종결부  , Japanese-Korean Contact Situations,LINE Chat,Closing Section

Analysis of the Closing Section of Line Chat in Japanese-Korean Contact Situations : Focusing on Closing Patterns, Composition Elements and Expression Forms

Lee, Yeonseung

(お茶の水女子大学 人間文化創成科学研究科 博士後期課程、比較社会文化学専攻)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sing sections of Line chats by Japanese native speakers (referred to as JNS) and Korean native speakers (referred to as KNS) during communication.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d on the closing patterns, composition elements, and expressive forms. The study found no patterns with explicit closings. However, to avoid misunderstandings, a tendency to construct closings was observed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atterns observed in Japanese or Korean native situations. In terms of composition elements, both JNS and KNS commonly used ⑫responses and ④expressions of gratitude more frequently, indicating that the responses and gratitude serve as signals for closing the chat. Regarding expressive forms, about 30% of the overall compositions were transmitted in sticker forms. Particularly in the final messages, both JNS and KNS used sticker forms more than twice as much as text forms. It was also observed that ⑫responses and ⑪farewells in the final messages were predominantly transmitted in sticker forms. Referring to these results, it would be beneficial for JNS and KNS to smoothly conclude chats while communicating.

李涓丞

(お茶の水女子大学 人間文化創成科学研究科 博士後期課程、比較社会文化学専攻)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