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36 (2023)
pp.91~112

DOI : 10.15532/kaja.2023.08.136.91

Degrammaticalization of Japanese NPI kiri-nai

Park, Kanghun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Inha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Japanese linguistics)

본고의 목적은 부정술어와 호응하는 현대일본어 「きり」의 역문법화의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는 「きり」의 「しか」와의 통사론적・의미론적 특징의 유사점에 기인 해 이 두 표현을 동일 표현으로 다뤄 왔다. 본고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지적은 수정되어야 하며, 이 두 표현은 동일 표현이 아니라는 것을 주장한다. 이 주장은 코퍼스 및 인포먼트 조사 결과를 통해서도 지지된다. 「きり」는 메이지-다이쇼시대 무렵에는 「しか」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지만, 쇼와중기 이후부터는 부정극성어 및 부조사로서의 문법 적 기능을 점점 잃어가는 소위 역문법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반해 「しか」는 현재 부정극성어 및 부조사로서의 문법화가 더욱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법화 현상이 보 이는 이유는 「きり」와 「しか」는 이음동의어와 같은 관계로 약 1세기에 걸쳐 경쟁 관계를 갖고 있었으나, 어떠한 이유로 인해 「しか」가 경쟁에서 이겨 부정극성어 및 부조사로서 의 문법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반대로 경쟁 관계에서 패배한 「きり」는 역문법 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きり」가 부정극성어・부조사로서 문법화가 진행되었을 때에는 「きりしか>きり」와 같이, 부정극성표현・부조사로부터 역문법화가 진행될 때에 는 「きり>きりしか」와 같은 형태적 변천도 보인다. 이와 같은 현상은 「きり」가 부정극 성어/부조사로서의 문법화가 정착했는지 아닌지를 보여 주는 또 하나의 판단기준으로 설 정이 가능해 매우 흥미로운 언어현상이라고 생각된다.
  역문법화,부정극성어,부조사  , 「きり」,「きりしか」,kiri,degrammaticalization,negative polarity item,adverbial particle,kirishika

Park, Kanghun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Inha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Japanese linguistics)

This study clarifies the degrammaticalization of modern Japanese kiri corresponding to negative predicates. In previous studies, kiri and shika were treated as having the same expression because of their similarity in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This study argues that the points of past studies should be modified and that these two expressions are not the same. This argument is supported by the corpus and informant findings. Kiri had features very similar to shika around the Meiji-Taisho period, but since the middle of the Showa era, degrammaticalization has progressed, losing its grammatical function as an NPI/adverbial particle. However, the grammaticalization of shika as an NPI/adverbial particle is currently in progress.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is that kiri and shika have been competing for approximately a century as synonyms for allophones, but for certain reasons, shika has won the competition and undergone grammaticalization as an NPI/adverbial particle. By contrast, kiri, which has been defeated in a competitive relationship, is in the process of degrammaticalization from an NPI/adverbial particle. Furthermore, when kiri is grammaticalized as an NPI/adverbial particle, the morphological change is also accompanied by ‘kirishika > kiri.’ When degrammaticalization from an NPI/adverbial particle is performed, it is like ‘kiri > kirishika.’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