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33 (2022)
pp.245~258

DOI : 10.15532/kaja.2022.11.133.245

異文化間交流における類型化の試み ― 包摂性を目指した多言語交流実践例から-

北出慶子

(立命館大学文学部・言語教育情報研究科 教授)

일본 국외에서 일본어를 배우는 학생과 일본 학생 간의 정규・비정규적 교류에서는 다양한 대응이 실천되고 있다. 또한 감염병 확산에 따른 여행 제한 기간에는 온라인 교 류가 양측 학생 간을 연결하는 귀중한 수단으로도 기능했다. 이처럼 학생 간의 국가를 초월한 교류는 친밀해 졌지만, 그 형태나 의의는 사회의 변화와 그에 따른 언어 학습이나 언어 교육에 있어서의 사고방식의 다양화와 함께 지난 30년간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교류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검토함에 있어 언어 학습을 4가지 방식으로 구분하고 언어교육・언어학습의 이론적 배경으로부터 고찰을 시 도했다. 구체적으로는 1990년대 이후 세계화 가속에 따른 언어교육 및 일본어교육에서 의 사상적 전환부터 변천을 개관하고 향후 전망을 향한 가능성을 논의했다. 과거 30년 동안 표면화되어 온 ‘말’, ‘문화’, ‘배움’이라는 개념의 재규정이 국가 등 기존의 틀을 초월한 커뮤니케이션에 어떤 의미를 가져올 수 있는지 논의하고, 각각의 목적에 맞는 장의 설계에 대해 검토를 시도했다. 특히 다문화・다언어 교류의 새로운 형태라 할 수 있는 트랜스 랭귀징 실천을 목적으로 한 실천을 예로 들어 새로운 동향으로 제4유형을 소개하고 그 가능성과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일본어 교육,비포멀 학습,시민성 교육,포섭사회,이문화간교류  , Teaching Japanese language,Informal learning,citizenship teaching,accommodating society,cross cultural exchange

The Typology of Intercultural Exchange : The Trans-languaging Activity Aimed at Creating an Inclusive

Keiko, Kitade

(立命館大学文学部・言語教育情報研究科 教授)

Various ways of correspondence have been practiced between the students learning Japanese in foreign countries and Japanese students. In addition, on-line exchanges functioned as valuable means to connect the students on both sides during the period of travel restrictions due to epidemic spread. As such, although international exchanges between students have become familiar, the forms and significance of correspondence have changed greatly over the last thirty years together with the changes in the societies and the subsequent diversification of the ways of thinking in language learning or language teaching. In this article, language learning was divided in to four methods and examin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anguage teaching and language learning in searching for what meanings such exchanges can have. In detail, the history of ideological changes in language teaching and teaching Japanese language due to the acceleration of globalization since 1990’s was overviewed, and the possibilities toward future prospects were discussed. Discussed was what meanings can be brought to the communication transcending the existing frames like nations by the redefinition of the concepts of ‘language’, ‘culture’, and ‘learning’ that have surfaced up in the last thirty years. An attempt was made to review the design of for each purpose. Especially, the fourth type was introduced as a new trend as an example of practice with a purpose to practice trans-languaging that can be called as a new type of multi culture-multi language exchange. Its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were also discussed.

北出慶子

(立命館大学文学部・言語教育情報研究科 教授)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