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29 (2021)
pp.1~14

DOI : 10.15532/kaja.2021.11.129.1

대재난의 망각과 상기 ― 포스트 3.11의 역사적 지층 ―

川口隆行

(広島大学大学院 人間社会科学研究科 教育学部教授)

동일본대지진은 지진, 쓰나미, 원전 사고라는 복합 재해이지만, 특히 원전 사고에 포커스가 맞춰질 경우에 이 진재 사고는 히로시마, 나가사키의 원폭 체험의 역사적 계보를 잇는 문제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런데 사고 직후에는 원폭에 대해 언급하는 담론들 중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책임을 애매하게 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그 중에서도 ‘부흥’이라는 단어는 진행되고 있는 모순이나 알력에서 눈을 돌리게 하 기 위한 용어로서 담론 공간을 지배하게 된다. 진재 이후에 일본 사회에서 이야기하는 ‘부흥’이라고 하는 말의 사용을 생각할 때 특히 중요한 것이 ‘리질리언스(resilience)’라고 하는 말이다. 정신의학 영역에서 트라우마에 지배당하지 않고 일상생활로 복귀하는 과정을 생각한다는 키워드였던 ‘리질리언스’는 2011년 이후 재해복구의 기본개념으로 보급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업 의 사원 관리 등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쓰이게 되었다. 다만 신자유주의적 언설과 결부된 ‘리질리언스’의 사용은 폭력을 낳은 주체와 사회의 문제(이른바 가해자의 문 제)를 시야 밖으로 몰아 모든 것을 개인의 문제로 왜소하게 만드는 위험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현재 일본인에게 필요한 것은 ‘리질리언스’라고 하는 말로 설명되어 온 다양한 국면에서의 ‘부흥’의 실태를 검증하고 ‘리질리언스’를 구동하게 하는 계기를 발견하 는 것이 아닐까.
  원폭 체험,부흥,리질리언스,신자유주의,대재난,저항  , Atomic Bomb Experience,Reconstruction,Resilience,Neoliberalism,Resistance

Catastrophe Oblivion and Remembrance : Historical Formations in the Post “3.11”

Kawaguch, Takayuki

(広島大学大学院 人間社会科学研究科 教育学部教授)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was not only a natural disaster caused by an earthquake and tsunami but a manmade one triggered by an accident at a nuclear power plant, but when the main focus is put on the nuclear accident, it may be recognized as an historical accident that involves atomic bomb experiences, following the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However, right after the accident, there were some attempts to make it unclear who’s responsible for it in the discourses that were made regarding the nuclear explosion. In such attempts, the word ‘reconstruction’ was deployed and widely used to turn people’s attention away from the contradictions or power struggles. In the post-accident era, when the word ‘reconstruction’ was brought up in Japanese society, it referred to ‘resilience.’ This ‘resilience,’ a keyword used in the field of psychiatry to signify a process of going back to normal without being traumatized, has begun to be used since 2011 not only as a basic concept of restoration from a disaster, but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a company’s employee management. But, the use of ‘resilience’ associated with the neo-liberalistic statements is problematic in that it poses a risk of reducing social problems (problems created by the so-called perpetrators) and the subject of begetting violence to an individual one by shifting attention away from them. What the Japanese currently want might be to discover a chanc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reconstruction’ in various aspects, which had been summed up as ‘resilience,’ and to rev up the genuine sense of ‘resilience.’

川口隆行

(広島大学大学院 人間社会科学研究科 教育学部教授)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