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28 (2021)
pp.53~69

DOI : 10.15532/kaja.2021.08.128.53

日本語と韓国語の認知的相違について― 「오르다(oreuda)」と「上がる」を中心に ―

洪榮珠

(韓国外国語大学日本学大学日本言語文化学部 講師, 日本語学)

본고에서는 일반적으로 상호 대응하는 관계로 여겨지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휘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 어휘가 가진 의미가 항상 상호 대응하는 관계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에 착목하여 이들 양 어휘간의 대응가능성과 불가능성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이유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어 동사 「오르다(oreuda)」와 이에 대응되는 일본어 동사 「上がる」를 중심으로 이들이 의미적으로 서로 대응하는 경우와 대응하는 표현으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의 예를 살펴 이들이 대응하여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중심으로 그 이유를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설명의 모델로서 이용한 것은 Langacker(2002)의 네트워크 모델(Network Model)이다. 네트워크 모델이란 어떠한 의미를 인지하는 데 있어서 처음에는 기존의 프로토타입과 마찬가지로 전형적인 범주에서부터 인지가 시작되기는 하나 그 인지적 범주가 확산되는 방향이 하나가 아닌 다각적인 방향이라는 점을 골자로 한 이론이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이론적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동사 「오르다(oreuda)」와 일본어 동사 「上がる」의 의미 속성에 대해 조사하고 이들 동사의 인지적 범위를 네트워크 모델을 통해 도식화함으로써 이들이 각각 어떠한 전형적인 의미 속성을 바탕으로 어떠한 인지적 범위까지 확산된 의미 속성을 나타내는지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한일 양 언어에 있어 이들 두 동사가 서로 대응하는 표현으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는 각 동사들의 인지적 범위의 차이가 다르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네트워크 모델,한국어,일본어,오르다,인지언어학  , あがる(agaru),Network Model,Korean,Japanese. oreuda,agaru,cognitive scope

A Study of the Cognitiv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 Focused on the Meaning of the Korean verb “oreuda” and the Japanese Verb “agaru”

Hong, Youngju

(韓国外国語大学日本学大学日本言語文化学部 講師, 日本語学)

In the present paper, we focus on the meanings of Korean and Japanese vocabulary, which a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in a mutually corresponding relationship, but do not always appear in a mutually corresponding relationship. It was intended to present an academic reason for this observation.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Korean verb “oreuda” and the corresponding Japanese verb “agaru, we will examine examples where they semantically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where they do not appear in the corresponding expression. And these examples were analyzed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oint of view. The network model of Langacker (2002) was used as the explanatory model. The network model is a theory based on the point that, although recognition starts from a typical category like the existing prototyp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gnitive category is spread is multifaceted. Based on such a theoretical model,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emant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b “oreuda” and the Japanese verb “agaru” and schematized the cognitive ranges of these verbs through a network model. Based on this, it was suggested to what extent the semantic attributes were spread out. 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sometimes these two verbs do not appear as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and the reason ​​i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ognitive scope of each verb.

洪榮珠

(韓国外国語大学日本学大学日本言語文化学部 講師, 日本語学)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