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38 (2024)
pp.97~128

DOI : 10.15532/kaja.2024.02.138.97

조선인 학살과 유언비어, 배제와 연대의 서사

김여진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 박사수료, 고려대학교 4단계 BK21 중일교육연구단 참여대학원생)

1923년 9월 1일 발생한 간토대지진은 자연재해로 인한 막대한 피해뿐 아니라 수천 명의 조선인이 학살된 제노사이드 사건을 낳은 한일 근대사에서 유례없는 재난이었다. 본고는 재난을 경험하고 학살의 현장을 목격한 한일 문인들이 이 사건을 어떻게 기억하 고 문학적으로 기록하고자 했는지 이들의 문학 기술 양상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읽히는 배제와 연대의 서사를 검토한 것이다. 조선인 유언비어와 학살에 대한 일본 문인의 반응은 무비판적 수용, 반신반의, 비판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의 기록에서 조선인 유언비어가 만연했던 당시의 상 황과 함께 타자에 대한 일본인들의 공포와 배외심을 엿볼 수 있었고, 유언비어의 파괴 력을 재고할 수 있었다. 또 조선인 학살을 둘러싸고 한국과 일본 문인들 간의 상이한 입장이 재난과 학살 서사에서 어떤 식으로 서술되고 있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간토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문학 작품에서 피해 주체인 조선인이 후경화되거 나 엄격한 검열로 인해 조선인의 주체적인 목소리가 온전한 기록으로 남기 곤란했다는 문제점은 있었으나, 유언비어의 유포와 학살 행태를 비판하고 문제를 제기하고자 했던 한일 문인의 노력의 흔적을 살펴볼 수 있었다. 가해자피해자의 구도에서 한일 문인들 은 서로를 배제하기도 하고, 민족의 차이를 넘어 연대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간토 대지진과 학살로부터 100년이 지난 지금, 배제와 혐오보다는 역사의 과오를 바로잡고 미래지향적인 한일 관계 구축을 위한 연대가 중요시되는 대목이다.
  조선인 학살,유언비어,한일 문인,배제,연대  , The Kantō Massacre,Rumors,Koreans and Japanese writers,Exclusion,Solidarity

The Kantō Massacre and Rumors of Koreans : Narratives of Exclusion and Solidarity

Kim, Yeo Jin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 박사수료, 고려대학교 4단계 BK21 중일교육연구단 참여대학원생)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literary descriptions of Korean and Japanese writers who experienced the Great Kantō Earthquake and the Kantō Massacre through analyses of their records, exploring the narratives of exclusion and solidarity conveyed in their works. The response of the Japanese writers to the rumors about the Koreans and massacr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main reactions, viz. uncritical acceptance, doubt, and criticism. Through their records, one can discern the fear and exclusion of the Japanese toward others, along with the prevalent circumstances of the time concerning the rumors about the Koreans. It led to a reconsideration of the destructive power of these rumors. Additionally, the study analyzed the divergent perspective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writers regarding the Kantō Massacre, examining how these varying stances are portrayed in the narratives of the disaster and genocid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literature depicting the massacre of Koreans revealed certain challenges, for example the victimized Koreans’ representations were overlooked and the issues of stringent censorship. However, traces of efforts by the Korean and Japanese writers who criticized the rumors and massacre could be identified. Within the dynamics of perpetrator-victim relationships, the Korean and Japanese writers, even while at times excluding each other, demonstrated attempts to transcend national differences and show solidarity.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