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33 (2022)
pp.395~414

DOI : 10.15532/kaja.2022.11.133.395

전후 마이너리티의 일본어문학과 군사기지 ― 『진달래』와 『류다이분가쿠』를 중심으로 ―

곽형덕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일어일문학과 부교수)

본고는 한국전쟁 발발 이후 일본 본토와 오키나와에서 군사기지가 확장돼가는 위기 속에서 『진달래와 『류다이분가쿠 동인들의 대응 양식을 ‘1950년대’라는 맥락에서 살 펴봤다. 2장에서는 군사기지와 문학이라는 관점에서 『진달래』와 김시종의 첫 번째 시집 『지 평선』을 다뤘다. 『진달래』 동인들은 일본이 다시 군국주의 국가로 나아갈 것이라는 우려와, 그러한 상황 속에서 자신들의 “민주적 민족 권리”가 침해당할 수 있다는 위기를 느끼고, 이를 타파하기 위해 일본의 농민/시민들의 고통에 공감하며 이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연대하려 했음이 확인된다. 3장에서는 『류다이분가쿠』를 중심으로 한국전쟁 이후 오키나와에서 미군기지가 확 장되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대응 양상을 분석했다. 특히 오키나와와 일본 본토를 ‘전쟁 국가’ ↔ ‘평화국가’라는 이항대립 구도로 설정하는 것이 지니는 위험성을 지적하고, 그러한 구도가 설정되기 이전인 1950년대 오키나와의 상황을 해석했다. 군사기지와 문학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오키나와와 일본 본토가 북위27도선을 기준 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해도, ‘반기지 운동’을 놓고 일본인과 재일조선인, 그리고 우치난 추가 연대하는 모습도 확인된다. 『진달래』와 『류다이분가쿠』가 기지 건설로 인한 토지 강제 수용에 반대하는 민중투쟁이라는 공통분모로 이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오키나와문학,재일조선인문학,진달래,류다이분가쿠,미군기지  , Okinawan Literature,Zainichi Koeran Literature,Jindale,Ryudaibungaku,US military bases

Minorities’ Japanophone Literature and Military Base : Focusing on Jindale and Ryudaibungaku

Kwak, Hyoungduck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일어일문학과 부교수)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sponses of “Jindale (Azaleas)” and “Ryudaibungaku” to the crisis of expanding military bases in mainland Japan and Okinawa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Chapter 2 focuses on “Jindale” and Kim Sijong’s first collection of poems “Jiheisen (The Horizon)” from the perspectives of military bases and literature. The members of the “Jindale” circle magazine were concerned that Japan might become a militaristic country again. They actively interacted with Japanese citizens in order to break through the crisis. In Chapter 3, the response pattern of the members of “Ryudaibungaku” circle magazine was analyzed for the situation where the US military bases expanded brutally in Okinawa after the Korean War. The dangers of setting Okinawa and mainland Japan as ‘war-state’ versus ‘peace state’ in a binary oppositional structure were highlighted, and the situation of Okinawa in the 1950s prior to such a structure was scrutini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military bases and literature, even if Okinawa and mainland Japan were divided by the 27th parallel to the north latitude, it was confirmed that the Japanese, Zainichi Koreans, and Okinawan were in solidarity over the ‘anti-base movement.’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