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32 (2022)
pp.177~203

DOI : 10.15532/kaja.2022.08.132.177

『大岡政談』「小間物屋彦兵衛伝」の成立 ― 写本テキストの生成過程を論じて<小さな民衆文芸史>を語る ―

梁誠允

(高麗大学校文科大学日語日文学科講師. 専攻は西鶴を中心に伝説・民話と近世文学、日本文化研究.)

본고에서는 연극/영화/강담의 원작으로서 유명한 『오오카정담(大岡政談)』 「방물장 수 히코베전(小間物屋彦兵衛伝)」의 성립 사정을 처음으로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에도시대에 사본으로 유통된 실록체소설 「방물장수 히코베」의 이야기의 생성과 변천의 과정을 고찰했다. 필자의 선행연구를 통해 「방물장수 히코베」의 이야기의 핵 심 소재가 조선판 『당음비사(棠陰比事)』 로부터 유래하여, 우키요조시(浮世草子) 작품 을 거쳐, 항간설화집(견문집)에 이르러, 이야기의 핵심화형(話型)이 교호(享保)기 (1720~30년)에 형성되었고, 이것이 「방물장수 히코베」이야기의 주요 모티브 및 구성 요소로 되었음을 지적했었다. 본고는 후속 연구로서 「방물장수 히코베전」의 초기형 태로 상정하는 실록체소설 『오오카미담록(大岡美談禄)』 를 한일 학계에 처음으로 보 고하며, 계통을 달리하는 후속작 『오오카미담(大岡美談)』 과의 선후 관계를 밝혔다. 동시에 핵심화형을 기축으로 삼아서 두 사본의 성장 과정에서 「방물장수 히코베」의 이야기가 에도시대 민중들이 향유한, 다양한 장르(중국의 고사/설화, 일본의 군기모 노가타리, 여타의 실록체 소설 등)의 모티브를 섭취하며 변모해간 텍스트 생성의 동 태를 밝혔다. 더불어 활자인쇄/양장본의 형태를 전제로 한 근현대의 텍스트비평이론 을 상대화시키는 문헌편집학의 시좌를 통해, 본 작품의 생성과정에 강석사(講釈者) 들이 민중들과 교감하며 형성시킨 실천/창작의 구체적 모습(평석을 위한 구두적인 주해 첨가 부분)을 소개했다. 그 모습들은 실록의 텍스트가 변화/성장하는 동인이자 ‘가능태’로서 사본 텍스트의 특질이었다. 그러나 메이지기의 인기작이었던 활판본 「 방물장수 히코베전」의 교정작업에서는 이같은 부분이 ‘노이즈’(구성의 번잡함/비통일 성/비균일성)로 취급돼 삭제되었으며, 이러한 사정을 통해 텍스트 인식의 이질성에 관해서도 언급했다.
  필사본,전승,실록체 소설,오오카정담(大岡政談),방물장수 히코베전(小間物屋彦兵衛伝)  , Transmission,Manuscript,True Story Novels,Ohoka-seidan,Biography of ‘pedlar Hikobei’

Study on the The Generation and Formation of “Ooka Seidan: Biography of Pedlar Hikobei” : Discuss the Process of Creating a Text of Manuscript and Then Tell the Story of “People's Literary History.”

Yang, Seong-Yoon

(高麗大学校文科大学日語日文学科講師. 専攻は西鶴を中心に伝説・民話と近世文学、日本文化研究.)

The current study aimed to clarify the generation and formation of “Ooka-Seidan: Biography of ‘pedlar Hikobei’, which is famous for original plays/films/storytelling(講談), distributed as manuscripts during the Edo period. Through my previous research, the core material of the story of “Biography of pedlar Hikobei” originated from the Joseon-version of “Toin-hiji” and after ‘Ukiyojo-shi’(浮世草子) folktale(巷説・見 聞集), whichi was was formed in 1720~30, and it it became the main motif and component of the True story novels'(実録体小説) ‘pedlar Hikobei’. As a follow-up study, this paper reported for the first time to the Korean-Japanese academic community the True story novels'(実録体小説) ”Ooka-Bidan-rok,” which is assumed to be the early form of the ‘pedlar Hikobei’. In addition, it revealed the relationship with the sequel “Ooka-Bidan”, which has a different lineage. As a result, it revealed the movement of text generation that has been transformed by consuming various genres of works enjoyed by the people of the Edo period. In addition, in order to relativize modern text criticism on the premise of a type print/cabinet form, through the point of the textual scholarship, the specific appearance of practice/creation (note/review) formed by professional story-teller(講釈師) in communication with the people was introduced.

梁誠允

(高麗大学校文科大学日語日文学科講師. 専攻は西鶴を中心に伝説・民話と近世文学、日本文化研究.)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