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31 (2022)
pp.101~119

DOI : 10.15532/kaja.2022.05.131.101

磨光韻鏡에 걸친 江・宕攝韻 字音 규정의 문제점

孟垚

(동국대학교(Seoul Campus) 박사과정, 음운론)

李京哲

(동국대학교(Seoul Campus) 일본학과 교수)

본고에서는 磨光韻鏡의 左・右音注를 실제 吳音・漢音資料와 비교・분석하여 磨光韻鏡 江・宕攝韻에 나타나는 字音 규정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開口2等 江韻은 吳音資料에서 주로 -au/-aku형으로 나타나는데, 磨光韻鏡 左音注에서는 舌音字를 -joku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2)開口1等 唐韻은 吳音・漢音資料와 磨光韻鏡 左・右音注 모두 동일하게 -au/-aku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단지 磨光韻鏡 右音注의 [ダウ囊曩]는 漢音資料에서 [ナウ]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ナウ囊曩]로 수정되어야 한다. 3)合口1等 唐韻은 吳音・漢音資料와 磨光韻鏡 左・右音注 모두 동일하게 -wau/-waku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단지 磨光韻鏡에서 合口로 기재한 [幫螃傍] 脣音字 4자는 開口1等 唐韻으로 옮겨야 한다. 4)開口3等 陽韻 乙類는 吳音資料・磨光韻鏡 左音注에서는 주로 -au/-aku형으로, 漢音資料・磨光韻鏡 右音注에서는 대부분 -jau/-jaku형으로 출현한다. 단지 齒音字는 左音注를 -jau/-jaku형으로, 右音注를 -au/-aku형으로 인위적으로 구별하고 있다. 5)開口3等 陽韻 甲類는 吳音・漢音資料・磨光韻鏡 모두 주로 -jau/-jaku형으로 나타난다. 단지 磨光韻鏡 左音注의 齒音字는 精淸從心邪母를 4等에 배열하여 -au/-aku형으로, 照穿審禪母를 3等에 배열하여 -jau/-jaku형으로 인위적으로 구별하고 있다. 6)合口3等 陽韻은 吳音資料에서 -wau/-waku형으로, 漢音資料에서 주로 -wijau형으로 나타나는데, 磨光韻鏡 左音注는 -au/aku형과 -wau/-waku형으로, 右音注는 -jau/-jaku형과 -wau/-waku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마광운경,강・탕섭,자음 규정,반절,일본한자음  , Mako-Inkyo,Group Jiang・Dang,Kana Notations,FanQie,Sino-Japanese

On the Kana Notations of Group Jiang(江)・Dang(宕) in Mako-Inkyo

Meng Yao

(동국대학교(Seoul Campus) 박사과정, 음운론)

Lee, Kyongchul

(동국대학교(Seoul Campus) 일본학과 교수)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principle of Left and Right phonetic notation of Mako-Inkyo compared with Go’on・Kan’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Go’on mainly appears as -au/-aku type and -ou type are mixed in the second rhyme of Jiang(江). However, Go’on of Lingual is written in -jou/-joku type in Mako-Inkyo. 2. Go’on・Kan’on・Mako-Inkyo appears as -au/-aku type in the first opened rhyme of Tang(唐). However, [ダウ囊曩] should be changed to [ナウ囊曩] on Kan’on in Mako-Inkyo. 3. Go’on・Kan’on・Mako-Inkyo appears as -wau/-waku type in the first rounded rhyme of Tang(唐). However, Labial should be arranged in The first opened rhyme of Tang(唐) in Mako-Inkyo. 4. Go’on and Go’on in Mako-Inkyo mainly appears as -au/-aku type, Kan’on and Kan’on in Mako-Inkyo mainly appears as -jau/-jaku type in the opened B type of third rhyme Yang(陽). However, Dental artificially distinguishes Go’on into -jau/-jaku type and Kan’on into -au/-aku type in Mako-Inkyo. 5. Go’on・Kan’on・Mako-Inkyo mainly appears as -jau/-jaku type in the opened A type of third rhyme Yang(陽). However, the -au/-aku type is arranged in the fourth division and the -jau/-jaku type is arranged in the third division in Mako-Inkyo. 6. Go’on appears in -wau/-waku type and Kan’on mainly appears in -wijau type in the rounded type of third rhyme Yang(陽). However, Go’on in Mako-Inkyo are written in the -au/-aku・-wau/-waku types and Kan’on as -jau/-jaku・-wau/-waku types.

마광운경에 걸친 강・탕섭운 자음 규정의 문제점

孟垚

(동국대학교(Seoul Campus) 박사과정, 음운론)

李京哲

(동국대학교(Seoul Campus) 일본학과 교수)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