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29 (2021)
pp.115~143

DOI : 10.15532/kaja.2021.11.129.115

法廷における戦略的談話 ― インポライトネスの観点から ―

小此木江利菜

(고려대학교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申憙慧

(고려대학교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불손(Impoliteness)는 공손(Politeness)의 반대 개념으로, 주변적인 현상으로 취급되 어 왔다. 인간은 일반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때 정중하게 말하거나 상대의 기분을 상 하게 하지 않도록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여 타인과의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언어행동을 선택한다. 그러나 일본어 모어화자의 일상 회화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여 대립이나 갈등 장면에서 상대방에게 정중하지 않은, 공격적으로도 보일 수 있는 불손전략을 구사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의사소 통에서 보이는 불손의 표출에 착안하여 불손이 일어나기 쉬운 법정장면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법정에서는 재판에서 이긴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이 사용 되므로 불손의 발화가 자주 등장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법정장면에서 나타나는 불손의 발화를 체면위협의 유형에 따라 행위구속, 자기현시, 부정적 평가, 반대의사・ 태도, 감정표출로 나누고 각각의 유형에 해당하는 발화행위를 화자의 체면위협 의도 에 따라 하위분류하였다. 또한 재판 참여자들 각각이 어떠한 체면위협 발화행위로 불손을 실현하고 있는지에 대해 역(力)관계의 작용 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그 결과 법정담화 전체에서는 부정적 평가가 가장 많았고, 반대의사・태도, 감정표출, 행 위구속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力)관계 별로는 변호사의 경우 힐문(問い詰め), 거듭다짐(念押し), 증인은 우기기(言い張り), 역정(怒鳴り), 검찰은 반대, 재판장은 명 령의 전략이 특징으로 나타나 재판에서의 역할마다 역관계의 작용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불손,발화행위,체면위협행위,법정담화,전략적 담화  , insolence,locutionary act,face-losing threats,court dialogue,strategic dialogue

A Strategic Discourse in Court : Focusing on Impoliteness

OKONOGI, Erina

(고려대학교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Shin, Heehae

(고려대학교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Impoliteness, the opposite of politeness is considered as a peripheral phenomenon. The conversation of Japanese native speakers is quite diverse and complex, and there are often cases of confrontation or conflict in which seemingly aggressive impoliteness can be noticed. In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court scenes which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insolence. In court, various tactics are used to win trials, and an insolent communication style is often used to achieve this goal. In this study, ungracious speech was categorized into facelosing threat types, such as behavioral arrest, negative evaluation, dissenting opinion or attitude, emotional outburst. Each type of locutionary act was further subcategorized according to the speaker’s intent regarding the facelosing threat. Additionally, we also explored the power relations of facelosing insolent communication during court disputes. Results show that in overall court communications, negative evaluations a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dissenting opinions or attitudes, emotional outbursts, and behavioral arrest. In terms of power relations for lawyers, we found crossexamination(問い詰め) and repetition of oath(念押し), while, for the witnesses, we found persistence(言い張り) and expression of anger(怒鳴り) are the most common. The prosecutors employed opposing statements while the chief judge gave strategic orders.

小此木江利菜

(고려대학교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申憙慧

(고려대학교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