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20 (2019)
pp.97~120

DOI : 10.15532/kaja.2019.08.120.97

친일문학과 민족문학의 전개양상 및 사상적 배경 ─ 재일작가 장혁주, 김달수・김석범의 저작을 중심으로 ─

김학동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전문연구원)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말기의 친일적 성향을 말년에까지 이어가려 했던 장혁주의 일본어 저작과, 주로 해방 이후의 작품을 통해 민족문학가로 평가받고 있는 재일동포 작가 김달수・김석범의 저작을 고찰하여 친일문학과 민족문학을 성립시키는 사상적 토대와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각각의 문학이 지닌 가치와 문제점을 조명하고자 한다. 장혁주는 일제의 식민지배에 대한 민족적인 저항을 담아낸 「아귀도(餓鬼道)」 등의 작품으로 일본문단의 주목을 받았으나 검열이 강화되면서 이를 지속하기 어려웠으며, 조선문단에서도 조선에 관한 것을 일본어로 창작하는 일 자체를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다. 게다가 기생 출신인 첩의 자식이라는 작가의 생래적 열등의식과 조혼한 아내로부터 벗어나고 싶다는 열망에 의해 내선일체운동과 황민화 정책에 쉽게 기울어갔다. 김달수와 김석범은 이데올로기 대립이 지속되는 조국보다는 활동이 보다 자유로운 일본에서 문학적인 투쟁을 전개하였는데, 그것은 주로 조국의 통일을 저해하는 독재정권에 대한 비판과 재일동포라는 마이너리티의 삶을 소재로 한 문학이었다. 결과적으로 장혁주의 경우는 유교적인 조선사회의 풍토에 의해 형성된 생래적 열등의식과 조선의 문단에 대한 반감이 민족의 이탈을 부추겼다고 한다면, 김달수와 김석범의 경우는 재일동포에 대한 일본사회의 차별과 냉대가 조국과 민족에의 회귀를 갈망하게 만들었다 하겠다.
  친일문학,민족문학,장혁주,김달수,김석범  , Pro-Japanese Literature,National Literature,Jang Hyuk-Joo,Kim Dal-Su,Kim Seok-Bum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Patterns and Ideological Background of Pro-Japanese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 Focused on the works of Korean-Japanese artists Jang Hyuk-ju, Kim Dal-su and Kim Seok-bum

Kim, Hak-dong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전문연구원)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background which identifies Pro-Japanese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by comparing the works of Jang Hyuk-joo's nationality-compromised Japanese writings, which displayed pro-Japanese tendency until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works of Korean-Japanese writers Kim Dal-su and Kim Seok-bum, who are known for composing National Literature after Koreas' liberation. Jang Hyuk-joo received attention of the Japanese literary world for his writing “Aguido”, which portrayed national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However, such literary activities were difficult to continue after the strengthening of censorship. In addition, there was a desire within Jang Hyuk-joo to escape from the contempt given by the Confucian society of Chosun, which encouraged the inferiority consciousness of the writer. This is because Jang Hyuk-joo was born as the child of a gi-saeng (korean geisha), meaning that it was easy to embrace the Japanization policy forward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When an extreme ideological confrontation stemmed within Korea the Korean-Japanese writers Kim Dal-soo and Kim Seok-bum found that it was impossible return to their liberated country. So, they decided to continue their literary struggles in the relatively open-minded Japan, concentrated on criticism against the dictatorship of Korea that stood against the nation's unification, and the woes of living the life as a Korean-Japanese minority. To conclude, Jang Hyuk-joo's case was that the consciousness of inferiority formed by Confucianism and the antipathy against the literary circles of Chosun encouraged his departure from his born nationalty, whereas Kim Dal-su and Kim Seok-bum's case was that the discrimination and disfavor from the Japanese society against Korean-Japanese residents led them to long for their return.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