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19 (2019)
pp.93~110

DOI : 10.15532/kaja.2019.05.119.93

현대일본의 ‘반지성주의’ 담론 분석

南相旭

(인천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부교수)

이 글에서는 2010년대 중반 일본의 담론 공간에서 ‘반지성주의’라는 개념의 수용 의 문제를 잡지 『겐다이시소』와 단행본 『일본의 반지성주의』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즉 이 글에서는 ‘반지성주의’라는 용어의 사용을 통해 드러나는 현대일본 사회와 정 치 구조의 문제들은 무엇이며, 그와 동시에 무엇이 감춰지는지를 묻고자 한다. 일본의 ‘반지성주의’는 아베 신조나 아소 타로 같은 정치인의 언행 속에 보이는 지적, 도덕적 타락을 민주주의의 위기의 증거로서 제시하기 위해 출현했는데, 노구 치가 지적하고 있듯이 그들의 이러한 언행은 다양한 가치관의 대립을 회피하기 위 해 통치의 정당성을 선거를 통해 연명하고자 하는 정치인들에 대한 관료들의 자발 적인 복종에 의해 지탱된다. ‘반지성주의’ 담론은 겉으로는 일부 정치인과 그를 지 지하는 일반대중의 ‘지’의 퇴락을 얘기하고 있지만, 실은 그 이면에 국가라는 존재 에 대한 긍정과, 그것의 정상적인 기능 회복에 대한 염원이 담겨져 있다. 일본에서 ‘반지성주의’는 일본이라는 ‘국가’의 지속에 큰 위협이 되는 요소를 드러내기 위한 말로서 출현하여, 그것을 통해 ‘국가란 무엇이며, 어떠해야 하는가?’ 라는 문제로 사 람들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반지성주의’는 기득권 유지의 도구로서 전락한 ‘지’에 대한 실망감과 그곳으로부터 소외되었다고 하는 원한의 정 서를 드러내는 한편, ‘지’가 더 이상 일부에 독점되지 않게 된 상황을 드러내는 말 이기도 하다. 요컨대 ‘반지성주의’ 담론은 일견 지식인들의 지의 독점에 대한 반발 을 문제시하지만, 실은 그 이면에 지식인에 의한 지의 독점이 쉽지 않아진 상황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서 일본에서 ‘반-지성주의’는 그것으로 호명되는 대상 그 자 체만이 아니라, 그것을 허용하는 정치 제도의 문제이며, 나아가 국가와 ‘지’에 대한 구성원들의 태도 변화까지도 드러내는 시대적 용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반지성주의,테크노크라시,내셔널리즘,지성 권력,대중화  , anti-intellectualism,technocracy,nationalism,intellectual power,popularization

Analysis of Discourse of Modern Japanese ‘Anti-intellectualism’

Nam, Sang-wook

(인천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부교수)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ssue of accepting the concept of ‘Anti-intellectualism’in Japan's discourse space in the mid-2010s, focusing on the magazines “Gendaisisho”and the book “Japanese Anti-intellectualism”. In other words,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addressed in the current article: What are the problems in the modern Japanese society, what political structure has been exposed through the use of the term ‘Anti-intellectualism’and what are hidden at the same time? In Japan, ‘anti-intellectualism’emerged to present intellectual and moral depravity in the words and actions of politicians such as Shinzo Abe and Taro Aso as evidences of crisis in democracy. As Masahiro Noguchi pointed out, their words and actions are supported by the voluntary obedience of bureaucrats and politicians who want to live on the legitimacy of governance through elections to avoid certain conflicts. The discourse of ‘Anti-intellectualism’ostensibly refers to the decline of intelligency of some politicians and the general public in support of them ; however, that represent an affirmation of state, and a desire to restore state’s normal functioning. In other words, ‘anti-intellectualism’ in Japan emerged as a term to reveal elements that posed a great threat to the continuation of ‘state’ in Japan. The term ‘anti-intellectualism’ served as an element to raise the question in people’s mind that ‘what is a state and what should it be?’ Finally, the discourse of ‘anti-intellectualism’ sometimes creates opposition to intellectual monopoly, but it ironically reveals that such monopoly has not been easy. The ‘Anti-intellectualism’ discourse is negative about the resistance to the monopoly of intellectuals' knowledge, in fact it ironically reveals a situation where monopolization of knowledge by intellectuals is not easy. From these considerations, we can confirm that ‘anti-intellectualism’ in Japan is not only a subject itself, but also an issue of the political system, and is an term that even reveals changes in members' attitudes toward the state and the ‘intellectual.’

南相旭

(인천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부교수)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