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18 (2019)
pp.315~341

DOI : 10.15532/kaja.2019.02.118.315

근대 일본의 한어학습콘텐츠 ― 한어학습서의 시기구분과 내용적 특징 ―

성윤아

(상명대학교 한일문화콘텐츠학과 부교수)

근대 일본인의 한어학습서는 동아시아정세와 한일관계의 추이에 따라 변화해왔으며 역사적 사건을 전후로 해 학습서의 간행수는 증가한다. 이는 많은 근대 일본인들이 한어학습을 해왔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인 ‘상호이해 및 문화의 수용’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본고에서는 1876년 이후부터 1945년까지 발간된 한어학습서를 정세와 특성에 따라 세 시기로 구분하고 언어 텍스트적 측면, 일본과 조선이라는 공간적 측면, 정치 수단적 측면에서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시기 구분 및 학습콘텐츠의 고찰은 일본의 대륙 진출 과정과 근대 한일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한어학습서의 서문과 학습 내용들이 일본인들의 시각으로 기술되어 있어 ‘일본인의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 수 있다. 제1기인 한일교역 및 선린우호기에는 교역과 교린을 강조했기 때문에 상업과 한국에 대한 정보를 담은 학습서가 많다. 제2기인 대륙진출기에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 출병하는 일본군을 위한 내용의 학습서가 주를 이룬다. 전쟁 후에는 식민 경영의 기반을 닦기 위한 내용이 포함되기 시작한다. 제3기 일제강점기 초기에는 재한 일본인의 업무와 생활의 편의를 돕기 위한 학습서가 많았으나 문화정치기로 들어서면서 한국의 풍속, 생활상, 지역, 한국인과 관련된 내용이 증가한다. 그 중에는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는 내용이 담기기도 했지만 ‘정치적 수단’으로서의 역할이 더욱 컸다. 즉, 한어학습서는 이웃나라인 한국과 상호 이해와 교류를 위한 수단 외에 ‘대륙진출’ ‘자국의 경제적 이익’ ‘식민 정치의 안정화’ 에 매우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근대 일본,한어학습서,교육콘텐츠(내용),일본의 대륙진출,정치적 수단,식민정치  , Modern Japan,Korean Study Book,Study Contents,Japanese Advancement to China,Political use,Colonial politics

A Study of a Korean Phrase book of Modern Japan : Periodic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 Contents of the Korean Phrase book

Sung, Yuna

(상명대학교 한일문화콘텐츠학과 부교수)

The Korean Phrase books for modern Japanese changed over time based on diplomatic relationships in East Asia. The supply of the books increased especially after major historical events. The increase and change in the contents and sale of the books were evidence of the high demand for learning Korean in Japan, but was far away from learning Korean communication, which would mean a ‘mutual understanding of the cultu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 changed over different time periods (1876 ~1945). I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based on contextual, spatial, and political changes. The differences in time periods deepen the understanding of Japanese imperialistic intention against Korea. In addition, the study book uses an example based on Japanese perspectives, and describes how Japanese people viewed changes in Korea during these time periods. In the first part of the period, which can be named as the ‘Korean-Japanese friendly relationship’ period, the Korean Phrase Books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in order to promote and a good diplomatic and economic relationship. However, during the Sino and Russo-Japanese war, named as ‘Advancement period,’ the study books were intended for military uses rather than commercial use. In third period, or the ‘colonial period,’ the Study Book was used to promote effective colonial rule. However, when Japan changed its ruling style into a cultural ruling method, the study books focused on Korean culture again. Although it is true that some Japanese used the Study Book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Korean Study Books were mostly intended for political uses that varied along the different periods.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