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17 (2018)
pp.159~182

DOI : 10.15532/kaja.2018.11.117.159

『尋常小学読本』『高等小学読本』の同時代的位置づけ ― 『新訂尋常小学』『国民小学読本』との関連を検討するための基礎的研究 ―

甲斐雄一郎

(筑波大学 人間系 教育学域 教授)

李賢珍

(祥明大学校 桂堂教養教育院 非常勤講師)

근대 일본 교과서 검정시기에 편집ㆍ발행된 『尋常小學讀本(신정소학독본)』, 『高等小學讀本(고등소학독본)』은 한국 개화기에 학부가 편찬하고 발행한 『신정심상소학』과 『국민소학독본』의 저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개화기 교과서의 특징을 밝히기 위한 기초연구로 『尋常小學讀本』과 『高等小學讀本』의 역사적, 시대적 위상 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 두 교과서는 1886년 ‘제1차 소학교령’하에서 편집되었는데, ‘독서과’의 교육내 용은 ‘지리, 역사, 이과 사항’라고만 규정되어 있어, 독립 교과인 지리, 역사, 이과와 의 관련 등 구체적 내용 구성은 교과서 편집자에게 맡겨졌다. 이후 1891년 ‘제2차 소학교령’의 ‘소학교 교칙대강’은 ‘독서과’의 제재를 ‘수신, 지리, 역사, 이과, 그 외 일상생활에서 빼 놓을 수 없고 흥미로운 것’이라 서술하고 있는데, 이 배경에는 『尋常小學讀本』과 『高等小學讀本』의 완성이 있었다. 이들 교과서의 제재선택에 관한 방침을 ‘소학교 교칙대강’이 추인한 것이다. 또한 이 규정은 1900년 ‘국어과’ 성립 시에도 거의 바뀌지 않고, 1941년 국민학교령 및 국민학교령 시행규칙 제정 때까지 유지되었다. 즉, 제1차 소학교령 하에서 편집되고 발행된 『尋常小學讀本』과 『高等小學讀本』이 일본 국어과의 기틀을 완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 두 교과서를 포함한 일본 검정교과서와 한국의 『신정심상소학』, 『국민소학독본』의 관련성에 관 해서도 검토한 결과, 지리입문ㆍ지리일반, 외국지리, 외국역사, 그리고 이과적인 제재 에 일본 검정교과서를 다수 참조로 한 예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신정심상소학』의 경우, 『尋常小學讀本本』뿐 아니라 다른 검정교과서와의 관련 제재를 다수 확인할 수 있었다.
  고등소학독본,심상소학독본,신정심상소학,국민소학독본,개화기 교과서  , Jinjoshogakudokuhon,Kotosyogakudokuhon,Sinjungsimsangsohak,Gukminsohakdokbon,Textbooks published in the Enlightenment Period

Contemporary Positioning of ‘Jinjoshogakudokuhon’ ‘Kotoshogakudokuhon’: Basic Research for Relationship between ‘Sinjungsimsangsohak’ and ‘Gukminsohakdokbon’

Kai, Yuichiro

(筑波大学 人間系 教育学域 教授)

Lee, Hyunjin

(祥明大学校 桂堂教養教育院 非常勤講師)

‘Jinjoshogakudokuhon’ and ‘Kotoshogakudokuhon’, which we reedited and published during the modern Japanese Textbook Authorization Period are the original scripts of ‘Sinjungsimsangsohak’ and ‘Gukminsohakdokbon’ that were compiled and published in the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and periodical status of ‘Jinjoshogakudokuhon’ and ‘Kotoshogakudokuhon’ as basic research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extbook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These two textbooks were edited in ‘The First Shogakkorei’ of 1886, and it was provided that the education content of ‘Reading’ should only comprise ‘geography, history, and the sciences, and the actual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in terms of their content of Geography, History, and Science related subjects, etc. was left to the text book editor to decide. Later, ‘Fundamental Principles of Elementary School Rules’ of ‘The Second Shogakkorei’ in 1891 wrote that 'moral training, geography, history, science, and others are indispensable and interesting as ‘reading materials,’ in daily life, and ‘Jinjoshogakudokuhon’ and ‘Kotoshogakudokuhon’ were completed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olicy on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included in these textbooks was ratified by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Elementary School Rules’. In addition, the regulation was scarcely changed even when ‘Japanese Language Arts’ was established in 1900, and was maintained until ‘Kokumingakkorei’ was established in 1941. Eventually, it can be said that ‘Jinjoshogakudokuhon’ and ‘Kotoshogakudokuhon’ completed the foundation of ‘Japanese Language Arts’.

甲斐雄一郎

(筑波大学 人間系 教育学域 教授)

李賢珍

(祥明大学校 桂堂教養教育院 非常勤講師)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