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17 (2018)
pp.41~60

DOI : 10.15532/kaja.2018.11.117.41

ポライトネスの観点から見る関西方言話者の LINEにおける言語行動 - スピーチレベルシフトを中心に -

橋谷萌賀

(고려대학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본고는 친구간의 LINE에서의 일본어모어화자, 특히 간사이 방언 화자의 스피치 레벨 시프트의 기능을 폴라이트니스의 관점으로 고찰하였다. 분석 방법은 발화의 문 말을 P(Politeness form), -P(-Polite formⅠ), -PⅡ(-Polite formⅡ), N(Non politeness form), NM(No maker)의 5가지로 분류하였다. 분석 자료에서 추출된 업 시프트 발화 를 장면 별로 분류한 결과, 의뢰, 자청・약속, 이해, 감사, 질문, 인사, 보고, 사과, 권 유의 9가지 장면이 관찰되었고, 그 중에서도 의뢰, 자청・약속, 이해 장면 등이 특히 많았다. 의뢰 장면에서 관찰된 업 시프트 발화에서는 주로 3가지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의뢰의 부담도에 따라 발화의 정중도를 조절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점원과 손님을 연기하는 것 같은 표현이 사용된다는 점, 세 번째는 경어 에 종조사를 부가함으로써 발화의 정중도를 조절한다는 점이다. 자청・약속 장면에서 는 네거티브 폴라이트니스 스트래티지와 포지티브 폴라이트니스 스트래티지 모두가 관찰되었다. 이는 상대방의 발화를 예측하며 먼저 자청함으로써 상대방의 부담을 줄 이는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연락에 관한 발화가 세 건 관찰되었고, 그 발 화에서 변형경어가 사용되고 있었다. 이 외에도 대화를 끝내고 싶을 때에 업 시프트 를 사용하여 상대방의 네거티브 페이스 침해를 경감하고 있었다. 이해 장면에서는 “はい”를 포함하는 발화와 “わかりました”를 포함하는 발화가 많이 관찰되었고, 장음 이나 종조사를 부가함으로써 상대방에게 냉정한 인상을 주는 것을 피하고 있었다.
  폴라이트니스이론,스피치 레벨 시프트,업 시프트,간사이 방언 화자  , LINE,Politeness theory,Speech level shift,Up shift,Kansai dialect speakers,LINE

Kansai Dialect Speakers’ Language Behaviors on LINE from Politeness Theory : Focus on Speech Level Shift

Moeka Hashitani

(고려대학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This article analyzes the shift in the speech level of native Japanese speakers, and especially speakers of the Kansai dialect, when using LINE, a free chatting application. Upshift utterances were classified in 9 different scenes, despite noting that several upshift utterances did not fit any of those scenes. More specifically,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request, offer/promise, and understanding scenes in which upshift utterances were abundantly found. A request scene consists of 3 distinct features. First, speakers controlled the speech level, which subsequently influenced the burden on hearers. Second, the speakers and the hearers participated in a customer/clerklike situation. Lastly, the speakers tended to add sentence final particles to honorifics in order to control the speech level. An offer/promise scene presents both negative and positive politeness strategies. The speakers assumed the hearers' utterances and offered the hearers' expected utterances before the hearers' response in order to reduce their burden. Furthermore, there were 3 utterances that included the word “contact,” in which one of them employed a transformational honorific. Additionally, the speakers used upshift utterances to protect themselves against hearers' negative facial expressions when they intended terminating their chat. An understanding scene consisted of many utterances that included “Yes” and “Understand.” Moreover, the speakers added long sounds or sentencefinal particles to honorifics in order to avoid being indifferent toward the hearers.

橋谷萌賀

(고려대학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