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17 (2018)
pp.19~39

DOI : 10.15532/kaja.2018.11.117.19

「名詞+ナ+名詞」における形態的・統語的考察

草野達也

(고려대학교대학원 언어학과 이론언어학전공 박사과정)

본고는 ‘アジアな女’, ‘ワインな気分’ 등 명사에 부가되는 ‘ナ’(이하’N1+ナ+N2’)에 관한 형태・통사적 연구이다. ‘N1+ナ+N2’의 형태적 특징으로 ‘ナ’에 부가되는 선행 요소를 종류별로 분류하면 가타카나어 명사가 특징적이며 이는 가타카나어 명사에 ‘멋있다’ 등의 좋은 이미지가 있고, 종래의 표기법에서 벗어남으로써 통례와 다른 의미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후행명사는 모달리티성을 가지는 단어가 부가되는 점이 특징적이며, 그 이유는 선행명사의 성질에 관계없이 모달리티성을 갖는 후행명 사에 촉발되며 ‘ナ’가 선택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선행명사의 요소로 실제로는 명사 한 단어뿐만 아니라 구에서 문장까지 광범위하게 ‘ナ’가 부가되기도 한다. 통사적 특징은 ‘N1+ナ+N2’가 3가지로 분류되며 ‘술어용법’과 ‘연체용법’ 2가지 모두를 겸비하는 가장 형용사다운 ‘N1+ナ’와 ‘술어용법’만을 가지는 ‘가짜형용사’ ‘N1+ナ’로 나눠지며, 또 하나는 ‘술어용법’과 ‘연체용법’ 2가지를 겸비하며 나아가 해석을 형용사가 아니라 맥락에 의존하는 ‘화용론적 추론’이 필요한 ‘N1+ナ+N2’가 있음을 밝혔다. 외견상으로는 ‘N1+ナ+N2’명사구는 통사적으로 모두가 비슷한 양 상을 띠는 것으로 보이나, 실제 깊이 관찰해 보면 그 통사성 및 형용사성은 한결같 지 않음을 알 수 있다. ‘N1+ナ+N2’명사구에서 ‘ナ’의 가장 중심적인 기능은 ‘선행명사에서 ナ형용사의 연체용법을 만드는 파생접미사’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단순한 오용이 아니라 언어학 적으로 합당한 하나의 현상임을 말할 수 있다.
  접미사,연체수식,형용사,형용동사,연체사  , suffix,adnominal form,adjective,ナ-adjective,adnominal adjective

A Morphological and Syntactic Study on 「Noun+ナ+Noun」

Kusano Tatsuya

(고려대학교대학원 언어학과 이론언어학전공 박사과정)

This paper presents a morphological and syntactic study of ‘N1+ナ+N2’, such as ‘アジ アな女’, ‘ワインな気分’. As for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N1+ナ+N2’, antecedent nouns are characteristic of Katakana when they are classified by word types. The reason is that Katakana has a good image, and it is intended to express the different meanings of the words by deviating from the original orthography. The element of antecedent nouns not only adds simple nouns but also phrases and sentences. As for syntactic features, consequent nouns of ‘N1+ナ+N2’often have modal words, because the modal element of consequent nouns inspires ‘ナ’regardless of any antecedent nouns. Furthermore, ‘N1+ナ+N2’is classified by three syntactic functional types. Firstly, there is ‘N1+ナ+N2’,which has the function of both a ‘predicate form’and ‘adnominal form’. Secondly, there is ‘N1+ナ+ N2’,which only has the function of a ‘predicate form’. Lastly, there is ‘N1+ナ+N2’,which has a ‘predicate form’and an ‘adnominal form’, and requires ‘pragmatic inference’. Instances of ‘N1+ナ+N2’all appear to be syntactically similar at first glance, but the syntactic and adjectival features are not actually uniform when they are considered in more detail. The prototypical function of ‘ナ’in ‘N1+ナ+N2’uses a derivational suffix, which creates the adnominal form of the ‘ナadjective’.

「명사+ナ+명사」における형태적・통어적고찰

草野達也

(고려대학교대학원 언어학과 이론언어학전공 박사과정)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