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15 (2018)
pp.129~148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청자언어행동 메카니즘 - 언어화 유형과 대인적 기능을 중심으로 -

李舜炯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박사연구원)

본고는 접촉장면 자연담화를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청자언어행동 메카니즘을 언어화 유형과 대인적 기능을 중심으로 분석,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공화(共話)를 이루는 「선행발화인 화자의 발화-후행발화인 청자의 공화적 반응-그리고 그 반응의 기능」이 어떠한 사용 흐름이 보이는지에 주목하여 청자언어행동의 메카니즘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화자의 선행발화와 청자의 공화적 반응형과 그 기능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화자 발화가 「중도발화 중지형」> 「말차단 중지형」> 「말주저형」의 순으로 공화적 반응이 많이 일어난다. 두 번째로, 「중도발화 중지형」에 대해 청자는 「선취 완결형」의 공화적 반응을 취하며 이 때 「보충」이나 「동의」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세 번째로, 「말차단 중지형」에 대해 「말차단형」으로 공화적 반응을 하며, 이 때에도 「보충」이나 「동의」의 기능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화자의 「말주저형」에 대해서도 청자는 「선취 완결형」의 공화적 반응을 보이며 「상대돕기」 등의 기능을 하는 것이 확인은 되었으나 두드러진 기능을 특정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그 이유는 출현 빈도가 낮기 때문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일본어 모어화자와의 접촉장면에서 「선취 완결형」이나 「말차단형」에 의한 공화적 반응은 행하지만 주로 발화 내용이나 정보에 대한 「보충」이나 「동의」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서 행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공화적 반응형,기능,선취완결형,보충,메카니즘  , Korean Learners of Japanese,Co-construction Responses,Function of anticipation,supplements,Mechanism

Study on the Mechanism of Japanese Listeners’ Linguistic Behavior in Korean Japanese learners : focus on linguistic types and interpersonal functions

Lee, Soonhyeong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박사연구원)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and review of the mechanism of listeners’ linguistic behavior. The behavior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was studied on the basis of the data pertaining to natural discourse in a contact scene, focusing on the linguistic type and interpersonal function. Specifically, the goal is to clarify the mechanism of listeners’ linguistic behavior by focusing on the kind of usage trend manifesting itself as 「utterance of initiating speaker- co-construction response of the listener, the following speech act –function of co-construction」. In particular, the speaker's initiating utterances and listeners’ co-construction response and their functions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ny co-construction responses of the speaker occur in the order of 「unfinished sentences」>「interruptions」>「hesitation」. Second, for 「unfinished sentences」, the listeners take co-construction responses of 「anticipation」, which function as 「supplements」or「agreement」 at this time. Third, in terms of 「interruptions」, the co-construction response was 「interrup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also functions as 「supplements」or「agreement」. Lastly, for the 「hesitating utterance type」, the listeners take co-construction responses of 「anticipation」, which function as 「assistance」but no significant function was identified because the frequency of appearance was low.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learners of Japanese perform co-construction responses by 「anticipation」 or 「interruption」 in a scene involving contact with a Japanese native speaker, but mainly with the function of providing「supplements」or for 「agreement」.

李舜炯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박사연구원)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