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14 (2018)
pp.95~112

『신센만요슈(新撰万葉集)』에 있어서 한시・와카의 수사 ― 마쿠라코토바(枕詞)・조코토바(序詞)・가케코토바(掛詞)・미타테(見立て)를 중심으로 ―

박일호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일본고전문학)

『신센만요슈(新撰万葉集)』의 와카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된 수사인 마쿠라코토바(枕詞)・조코토바(序詞)・가케코토바(掛詞)・미타테(見立て)가 한시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변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마쿠라코토바는 한시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읊어지면서 의미가 연상되고 주제가 드러난다고 하는 내재적 지시성’을 잃고 ‘직접적 표현’으로 대체되었는데, 한시에서는 마쿠라코토바와 피수식어가 동질의 이미지로 연접하면서 ‘마쿠라코토바+피수식어’라는 새로운 언어를 만들어낸다고 하는 이른바 ‘연접에 의한 새로운 언어의 생성’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코토바는 직유 형태의 일반적인 조코토바든 인과 관계의 형태로 된 조코토바든 한시로 옮기며 그 구조와 의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그 물상 서술은 심상의 정도를 강화하고 있다. 한편 조코토바가 배제된 번역을 통해 ‘물상과 심상의 대응 구조’로 주제를 선명하게 제시하는 조코토바의 수사적 기능과 시학적 위상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난다. 가케코토바는 동음이의어가 풍부한 일본어의 언어적 특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수사이어서 한시로 옮기는 과정에서 시세계의 일부나 기능을 잃기도 한다. 즉 한시에서는 하나의 어휘에 담겨진 두 개의 맥락이 직접적인 표현의 문맥으로 해체되면서, 은폐적 구조가 무너지거나 소리로 전해지는 중층의 의미가 구의 전개 속에서 평면적으로 설명되어지는 경우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센만요슈』에는 와카 부흥기의 가풍을 반영하듯 가케코토바와 더불어 미타테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미타테는 일종의 비유 표현으로서 하나의 사물에 빗대어 또 다른 사물을 표현하는 수사이다. 그 사물과 사물의 대응은 비논리적일 수 있으나, 이지적 이해를 통해 공감된다. 이러한 미타테가 헤이안시대 와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된 이지적 수사이며 당시의 미의식과 깊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기법으로서 이해되지만, 미타테는 다른 수사와는 달리 한시로 옮기는 과정에서도 그 본질적 특성과 시적 의도를 잃지 않는 수사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신센만요슈,와카,한시,번역,대역,수사,마쿠라코토바,조코토바,가케코토바,미타테,비유  , waka,rhetoric,translation,Sinsenmanyoushu,makurakotoba,jokotoba,kakekotoba,mitate

Rhetoric of Chinese poetry and Japanese classical poetry in Shinsenmanyoshu

PARK ILHO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일본고전문학)

I considered the process of transferring Makurakotoba, Jokotoba, Kakekotoba, Mitate, which are the most used rhetorics in Waka of Shinsenmanyoshu, and how they were perceived and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moving to Chinese poetry, Makurakotoba was replaced by ‘direct expression’, losing its intrinsic direction that ‘the meaning is reminiscent and the theme is revealed’.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 limit to ‘generation of a new language by concatenation’ called ‘Makurakotoba+catch phrase’ in Chinese poetry. Whether in the form of generic or causal relationships, Jokotoba moves to the Chinese poetry, which is in the form of a relationship with the general Jokotoba causality, and can maintain its structure and meaning, and the description of the matter strengthens the degree of image. In Kakekotoba of Chinese poetry, two contexts contained in one vocabulary are dismantled in the context of direct expression, and the meaning of the middle layer transmitted by sound is explained Mitate is an intelligent rhetoric which actively used in the Heian era waka and is understood as a special technique,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aesthetic of the time. However, Mitate was able to confirm that it is an investigation that does not lose its intrinsic characteristics and poetic intent in the process of moving to Chinese poetry, unlike other rhetoric.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