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12 (2017)
pp.301~321

<참예만다라(參詣曼茶羅)>에 나타난 인물군상 연구 ― 하단의 참예형태를 중심으로 ―

지미령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참예만다라(參詣曼茶羅)>는 인간의 신앙행위의 한 형태라는 관점에서 제작된 일종의 종교화이다. 참예만다라는 일본 무로마치(室町)시대 후기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찰과 신사에서 제작되었으며, 회화의 성격 상 일종의 사사(寺社) 안내도와 같은 역할을 담당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회화가 일반적으로 불화와 일반회화로 분류되어, 신불습합(神仏習合)・수적미술(垂迹美術)과 같은 종교회화에 대한 개념이 희박하다. 참예만다라 역시 한 화면 안에 신도(神道)와 불도(佛道)가 함께 묘사되어 있어 분류상의 어려움을 겪는 회회이기도 하다. 참예만다라의 화면구성은 일반적으로 불화가 신앙이나 신앙의 대상만을 표현했다면, 참예만다라는 신앙의 공간(聖地), 참예도(参詣道), 참예자(参詣者), 거주자(居住者)의 공간 등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 참예만다라에 관한 연구는 야나기다 구니오(柳田国男)를 시작으로, 종교민족학・민간신앙・역사학적 관점에서 다수의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이에 반해 미술사에서는 그 출발점이 다소 늦어져 1968년 교토국립박물관 특별전 「고회도(古繪圖)」를 계기로 주목을 받았으며, 이후 연구성과들을 내고 있다. 참예만다라의 구성은 상단부분에 일륜과 월륜을, 중단부분에 각 사사의 전각을, 그리고 하단부분부터 각 전각까지 연결되는 참예길을, 각 영장(霊場)을 참예하는 참예자와 지물(持物) 등의 묘사로 이루어진다. 참예만다라는 유형과 인물의 도상에서 몇 가지의 공통성을 보여준다. 이 중, 참예만다라의 제작은 보통 사이고쿠 33소관음영장(西國33所觀音靈場)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며, 관음영장은 만다라 안에서 첫 번째로 방문하는 제1所에 해당한다. 더불어 근세에 이르면 교통의 발달과 함께 33소관음영장 이외의 새로운 참예사사(参詣寺社)가 등장한다. 이들은 주로 사이고쿠 관음영장과 영장을 잇는 교통 요충지에 위치하며, 사사의 재원마련을 위해 전략적으로 발생했다. 더불어 새로운 참예사사는 근세 신사이고쿠 33소관음영장으로 연결된다.
  참예만다라,참예사사,사이고쿠(西國) 33관음영장,수적만다라,나치참예만다라,Shinto (神道),Honji-suijaku (垂迹)  , Sankei Mandala,Buddhism,33Avalokitesvara’s pilgrimage

A Study of the People's group in Sankei Mandala : Focus on Form of the bottom of Sankei

MIRYONG JI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The yearning and desire of man, along with the act of praying is a common interest of mankind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The examined in this study is also viewed as a form of man’s act of religion. The is a religious painting that possesses the characteristics of a guide map to a temple or a shrine. The painting has been found in many temples and shrines starting in the late Muromachi period in Japan, and continuing until the modern period. However, in Korea, paintings have generally been categorized into Buddhist art and ordinary art, and therefore concepts concerning religious art such as the syncretism of Shinto and Buddhism (神仏習合) and Honji-suijaku (pictures 垂迹美術) are rare. The portrays both Shinto (神道) and Buddhism within a single painting, and therefore is often considered as a painting that is difficult to categorize.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is composed of the religious space, pilgrimage routes, pilgrims, and space for residents, whereas other Buddhist paintings usually represent religious faith or religious subjects.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details of Sankei displayed in the . The study on was first started by Yanagida-kunio (柳田国男), followed by various dissertations in religious ethnicity, public religion, and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other hand, the starting point in art history was delayed, receiving attention based on the 「kokai-zu(古繪圖)」 special exhibit held in the Kyoto National Museum in 1968. Since then, various research achievements have been made. The structure of the consists of the sun and the moon in the upper part, with the royal palace of temples and shrines in the middle, and details of worshippers and sacrificed objects within sacred sites at the bottom. The production of is often related to 33Avalokitesvara’s pilgrimage in the Kinki area(西國33所觀音靈場), and thus serves as the 1st place within the painting.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 modern times has led to the new appearance of the , besides the 33Avalokitesvara’s pilgrimage to the Kinki area. While the displays several different types along with common similarities in the figure of persons, the changes of worshippers and sacrificed objects is currently unorganized, requiring research in this area.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