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12 (2017)
pp.219~233

유미리의 평양방문기에 나타난 북한 표상

김계자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HK연구교수)

본 논문은 유미리가 세 차례에 걸쳐 북한을 방문한 내용을 고찰하고, 그녀의 방북이 어떤 의미였는지 생각해본 것이다. 유미리는 『가족 시네마』 이후에 죽은 자의 목소리를 깨워 재일로서 자신의 뿌리 찾기나 일본사회를 향해 문제제기하는 장편을 연달아 발표했다. 이는 유미리가 ‘재일’로 살아가는 자신의 삶을 종적으로는 과거와 연결 짓고 횡적으로도 폭을 넓혀 일본사회와 관련 지어 생각해보려는 장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유미리는 2008년과 2010년에 세 번에 걸쳐 평양을 중심으로 북한을 방문하고 기행 에세이를 남겼는데, 북한을 실체가 없는 ‘환상의 조국’이라고 표현하면서 안개에 싸여 실체가 잘 보이지 않는 북한의 모습을 일본 사회에 적용해 현대 일본사회를 비판했다. 또, 북한의 ‘조선’ 사람과 ‘재일’의 삶이 다르다는 것을 새삼 인식하고, 조국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동질감을 느끼면서 동시에 조국으로부터 이방인 위치에 있는 자신의 삶을 비교하며, ‘재일’의 실존적 삶에 대해 새롭게 확인하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유미리,평양의 여름휴가,재일코리안문학,북한 표상,재일과 북한,재일의 실존적 삶  , Yu Miri,Summer vacation in Pyungyang,Korean-Japanese literature,Representation of North Korea,Korean-Japanese and North Korea,existential life as Korean-Japanese

North Korea represented in an Essay of Visitation in Pyongyang Written by Yu Miri

Kim, Gae-Ja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HK연구교수)

This article considered Yu Miri's visitation of North Korea, and analyzed how she represented North Korea in her essays. After the novel Family Cinema, Yu Miri published several novels successively which are concerned with searching for her roots as a Korean-Japanese or questioning the problems of Japanese society, through the method of arousing the voice of the dead. This writing style shows that Yu Miri connected her life as a Korean-Japanese with the past diachronically, and broadened horizontally to reveal the problems of Japanese society. In the process of writing novels above, Yu Miri visited North Korea three times in 2008 and 2010, and wrote traveling essays based on her experiences. In the essays, she portrayed North Korea as an insubstantial “illusionary homeland.” She applied this image to Japanese society and criticized that it had been shrouded in mist and concealed the truth. In her writing, she recogniz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ns from North Korea and those of Korean-Japanese origin. Therefore, she feels a sense of identity of having taken root in her chosen homeland, and at the same time, understands her life in the position of stranger to her homeland. In conclusion, Yu Miri recognizes her existential life as a Korean-Japanese through her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