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12 (2017)
pp.163~179

「기오(祇王)」의 근현대적 재생산 양상 ― 島村抱月 『平清盛』와 武者小路実篤 『清盛と仏御前』의 비교고찰 ―

김인아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헤이케모노가타리』 권 1에 수록되어 있는 「기오」 설화는 크게 두 가지로 연구되어왔다. 한 가지는 시라뵤시였던 네 명의 여인이 출가하여 함께 왕생을 이루었다는 전형적인 유형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여인 왕생담으로 분석된다. 또 다른 한 가지는 「기오」설화가 『헤이케모노가타리』 중에서도 전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오와 호토케를 대하는 기요모리의 태도를 바탕으로 기요모리의 성격 구축의 의도를 지니고 『헤이케모노가타리』 속에 수용되었을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에 연구되어 왔던 방식을 바탕으로 「기오」 설화가 근현대에는 어떻게 재해석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대상으로 1911년에 발표된 시마무라 호우게츠의 『다이라노 기요모리』 그리고 1913년에 발표한 무샤노코지 사네아쓰의 『기요모리와 호토케고젠』 두 작품을 비교 고찰해 보았다. 두 작품은 비슷한 시기에 발표되었다는 점과 제목의 유사성, 그리고 두 작품 모두 희곡이라는 동일한 장르라는 공통점은 지니고 있으나 「기오」 설화를 보는 시각은 전혀 달랐다. 시마무라는 작품 내에 등장하는 노래를 중심소재로 삼아 성공한 자 또한 언젠가 멸망한다는 『헤이케모노가타리』의 기본적인 주제를 작품 속에 투영시켰다. 무샤노코지의 작품의 경우 그는 ‘기요모리의 성격 구축’ 에 중점을 두었는데, 원전에서는 기요모리의 인물상에 대한 묘사와 추측만 가능할 뿐 제대로 된 설명은 존재하지 않았다. 무사노코지의 기요모리도 원전과 크게 다르지 않는다. 그러나 호토케 기오와의 관계를 통해서 기요모리의 성격 구축의 과정이 구체적이며 기요모리의 인물상에 대해서 새로운 측면을 제시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존의 「기오」와 재해석된 「기오」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작품의 수용이 어떠한 형태로 일어났는지를 확인 할 수 있다.
  헤이케모노가타리,기오,기요모리,호토케  , Heike Monogatari,giou,kiyomori,hotoke

Modern Reproduction Aspect of “Gio(祇王)” : Comparative Consideration on Shimamura Hogetsu(島村抱月) “Tairanokiyomori(平清盛)” and Mushanokoji Saneatsu(武者小路実篤) “Kiyomorito Hotokegozen(清盛と仏御前)”

KIM, INA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The “Gio” fable in vol 1. of “Heikemonogatari” has been researched largely in two streams. The first is the story of women’s passing to the next world (Wangsaengdam) in the context of four women, who were Sirabyosi and who left their home, and passed to the next world together. The other is the view that the fable “Gio” is located in the front part among “Heikemonogatari” and it could be included in “Heikemonogatari” with the intention of the establishment of Kiyomori’s character based on his attitude toward Gio and Hotoke.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fable “Gio” was reinterpreted in modern time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method. As the research target, this research compared and considered two works, Shimamura Hougetu’s “Tairano Kiyomori” published in 1911 and Mushanokoji Saneas’ “Kiyomori and Hotokegozen” published in 1913. These two works have the common ground that they were published in a similar period, with similar titles and in the same genre, drama; however, the view of the fable “Gio” was completely different. Shimamura imposed the basic theme of “Heikemonogatari’ onto the work by considering that a successful person also falls someday. In Mushanokoji’s work, he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Kiyomori’s character’; however, the only possibility is that of the description and supposition of the character image of Kiyomori, with no proper explanation in the original version. Furthermor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Mosanokoji’s Kiyomori. Nevertheless,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Kiyomori’s character is concrete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Hotoke, Gio, and it suggests a new aspect of Kiyomori’s character image of Kiyomori. This process enabl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Gio」 and the reinterpreted 「Gio」 to be comprehended and the type of acceptance of work along with the time stream to be determined.

「기오(祇王)」의 근현대적 재생산 양상 ― 도촌포월 『평청성』와 무자소로실독 『청성と불어전』의 비교고찰 ―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