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11 (2017)
pp.129~146

頓阿の本歌取りと「へだつ」 ― 古歌摂取の態度を中心に ―

이상민

(韓国外国語大学非常勤講師)

본고는 남북조시대를 중심으로 활약한 가인 돈아의 노래와 가어 헤다쓰와의 관계를 다루었다. 돈아는 비교적 평범한 가계에 태어났지만, 후지와라슌제, 그의 아들 데이카로부터 내려온 니조파 와카를 대표하는 가인으로 성장한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그에 대한 평가는 니조파의 정풍을 가장 충실히 대변했다는 긍적적 평가 이외에도 단지 옛 노래의 표현만을 빈번히 이용하여 진부한 노래만을 읊었다는 비판 역시도 공존하였다. 본고는 과연 그가 고킨슈이래의 옛 노래를 수용하는 자세에 대한 이러한 비판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옛 노래 섭취의 대표적인 레토릭중 하나인 혼카도리를 이용한 돈아의 노래를 중심으로 살펴 보는 것이 유효하리라 생각되었고, 그 중 특히 가어 헤다쓰가 쓰인 와카에서 기존의 혼카도리와 다른 특이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돈아의 혼카도리 와카 속 헤다쓰의 특질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헤다쓰가 와카사 속에서 어떤 의미로 쓰여지는지를 파악해 보고, 돈아의 혼카도리 노래와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헤다쓰는 사전적으로 두 물체 사이를 장애, 차단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만요슈에서는 차단을 의미하는 ‘隔’이외에도 중첩을 의미하는 ‘重’로도 표기되었다. 이를 힌트로 와카 속 특히 각 시대를 대표하는 칙찬집, 팔대집 안에서 용례를 추출, 분석해 보고 그를 통해 헤다쓰를 노래한 와카들 속에서 작중주체와 대상사이에 거리, 시간, 기상현상, 그리고 인간의 마음등 다양한 소재를 통해 분리와 차단이 다루어 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시대의 흐름과 함께 헤다쓰를 노래한 사계노래에서는 조금 독특한 양상을 띄고 있고 있었는데, 노래 속에서 헤다쓰에 의해 단순히 주체와 대상을 차단하는 것 이외에도 그 주체와 대상이 나뉘어 지는 경계, 혹은 나누고 차단하는 행위 자체가 중요하게 인식되어 지고 있었다. 이 작업을 통해 서로가 맞닿은 경계 속에서 출현하는 새로운 공간과 세계를 읊은 노래들을 다수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가어 헤다쓰가 가진 속성에 기인하는 바가 큰 것은 아닌가 생각되었다. 이에 그 범위를 돈아의 작품으로 넓혀 그가 헤다쓰를 이용해 읊은 노래들을 살펴 보고 그 역시 다양한 방법으로 헤다쓰가 만들어 내는 접점, 경계에 관심을 기울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주목할 것은 혼카도리를 구사한 그의 노래 중 헤다쓰를 이용한 노래가 독특한 양상을 띄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노래에서 헤다쓰를 통해 혼카의 세계와 작중주체의 현실과의 경계에서 출현하게 되는 공간과 세계에 주목하였다. 혼카의 가어만 이용하여 혼카의 정서에만 기댄 노래를 읊은 것이 아니라, 혼카의 세계와 주체의 현실이 절묘하게 한 수의 노래에서 융합되고 그로 인해 생기는 시간의 균열에 주목한 것이다. 이는 그가 평소에 주창했던 혼카의 마음이 되어, 하지만 그것에 사로 잡히지 않고 신묘한 마음을 읊는다는 혼카도리에 대한 설명과도 부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헤다쓰와 혼카도리를 이용해 새로운 옛 노래 섭취의 가능성을 제시한 돈아의 노래가 단순히 진부한 옛 노래풍이라는 폄하는 다시한번 재고되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헤다쓰,돈아,혼카도리,와카,중세  , Hedatsu,Tona,Honkadori,Waka,Meddle age

Tona's Hokadori and Hedatsu : Focusing on the Attitude of Ingesting Old Songs

Sangmin, Lee

(韓国外国語大学非常勤講師)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poetry of Tona who worked mainly in the Mikohidari school, the mainstream of Waka. Tona(1289∼1372) is not only a poet who played active in the periods of late Kamakura and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but also a monk. In the early twenties, he was admitted to the Nijo school because his unique talent was recognized by Tameie, the leader of Mikohidari school. Moreover, Tona gradually became a prominent poet of this Nijo school. Tona and his Waka exclude the eccentric elements as much as possible by using old-fashioned words since the Kokinsyu. Therefore, he was highly appreciated that he preserved the heritage of Nijo school stubbornly more than anyone else. However, he was also criticized by the Reizei family and Syotetsu because of using old-fashioned words. In this paper, I started by doubting whether this criticism against his style of using old-fashioned words is reasonable or not. I thus tried to verify criticism with the rhetoric of Honkadori and “Hedatsu”, uta-kotoba.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dictionary, “Hedatsu” means screening or separating something from the other. However, in Manyo-inscription, it also means “重”, overlapping each other. Taking this as a hint, I tried to verify the meaning of “Hedatsu” on wakas, especially from “Hachidai-syu.” Through this, wakas have been making poetry about separation and screening such as distance, time, weather phenomena, and the human mind between subjects and target. Particularly, it is confirmed that the poetry of four seasons that use “Hedatsu” have some unique aspect. In addition, “Hedatsu” does not only separate and screen between the subject and target, but also pay attention to its boundary generated by separation and the act of “Hedatsu.” As a result, I was able to identify some poetry that handles new spaces that appeared in the boundaries of each other. I thought that this was due to the nature and meaning of “Hedatsu.” Thus, I considered the poetry Tona wrote by using “Hedatsu.” I also noticed that he was paying attention to the contacts and boundaries that “Hedatsu” created in various ways in his poetry, which I based on the fact that Tona noticed the space that emerged from the boundaries between the world of Honka and the reality of the subject. This is in line with Tona’s explanation about Honkadori, which he usually advocates in his kagakusyo, “Seiasyo.” I think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at poetry of Tona, whi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aking words from old poetry using “Hedatsu” and Honkadori, is old-fashioned.

돈아の본가취りと「へだつ」 ― 고가섭취の태도を중심に ―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