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11 (2017)
pp.33~55

課題遂行の会話にみられる不同意表明の日韓対照研究

全鍾美

(釜山外国語大学校 日本語創意融合学部 助教授)

본 논문에서는 일본어모어화자간과 한국어모어화자간의 디스커션에 나타난 부동의표명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일본인 여대생 5페어와 한국인 여대생 5페어이고, 친구간의 회화를 대상으로 하였다. 부동의표명 장면을 조사한 결과, 일본어모어화자는 146회, 한국어모어화자는 76회의 발화가 출현하였다. 일본어모어화자의 발화에는 <수락> <보류> <평가>의 발화가 많이 나타났고, 한국어모어화자의 발화에는 <이유제시> <의견제시> <정보제시>의 발화가 많이 나타났다. 발화의 연쇄에서는, 일본어모어화자는 부동의표명을 하기 전 서로의 의견을 확인하기 위해 공통화제로 의견을 탐색하였다. 부동의표명의 출현 후에는 상대방이 자신의 의견과 다를지라도 그 의견을 받아들이며 회화를 진행하였다. 한국어모어화자는 회화의 시작과 동시에 서로 의견을 내기 시작했으며 부동의표명이 곧바로 출현하였다. 부동의표명은 대화의 진행과 함께 <이유제시> <의견제시> <정보제시>의 발화와 함께 구체화되어 갔다. 일본어모어화자는 자신의 부동의표명을 주장하지 않으며 상대방과의 의견의 합의점을 모색하는 것에 주력해 나가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한국어모어화자는 의견의 주장과 근거로써 부동의표명을 하는 것으로 상대방을 설득시키면서 의견의 일치를 도모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부동의표명,발화,회화분석,한일어대조연구  , Disagreement,Utterance,Discourse analysis,Contrastive study in Japanese and Korean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 and Korean Disagreement in Conversation about Task Execution

JEON JONGMI

(釜山外国語大学校 日本語創意融合学部 助教授)

The nature of disagreement that appeared in the discussion of Japanese female native speakers and Korean female native speakers was analyzed. The data comprise a conversation among friends consisting of five pairs of Japanese students and five pairs of Korean students. As a result of disagreements, utterances were expressed 146 times in the conversation of Japanese native speakers and 76 times in the conversation of Korean native speakers. Utterances of acceptance, postponement, and evaluation were mostly expressed in the utterances of the Japanese native speakers, whereas utterances of cause presentation, submission of opinion, and submission of information were mostly expressed in utterances of the Japanese native speakers. In the sequence of utterances, the Japanese native speakers commonly checked their opinions before expressing their disagreement. They subsequently accepted the opinion and proceeded with the conversation even though the opposing opinion differed from theirs. In contrast, Korean native speakers expressed their opinions at the time of starting their conversation and expressed their disagreements soon after. The disagreement manifested itself with utterances of cause presentation, the submission of opinion, and the submission of information. Japanese native speakers tended to make an effort to find agreement with the opinion of the opposite side by not using an expression of disagreement. On the other hand, Korean native speakers tended to find agreement of opinion by persuading the opposite side by using an expression of disagreement.

과제수행の회화にみられる부동의표명の일한대조연구

全鍾美

(釜山外国語大学校 日本語創意融合学部 助教授)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