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10 (2017)
pp.1~20

구(舊)만주 유용자(留用者)들의 전후 - 잡지 『쓰루오카(ツルオカ)』와 그 주변 -

坪井秀人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国際日本文化研究センター) 교수)

본고는 아시아태평양전쟁이 종료된 후에도 구(舊) 만주의 지방도시 중 하나인 허강(鶴崗, ヘガン)에 유용(留用)되었던 일본인 노동자들의 문화 활동을 고찰한다. 패전 후 1950년대 초까지 허강에서 탄광 노동에 종사했던 일본인들이 간행한 잡지 『쓰루오카(ツルオカ)』에 게재된 문학작품의 분석과 더불어, 잡지 간행의 기반이 된 동북건설돌격대(東北建設突撃隊)에 관련하였던 당사자들에 대한 청취조사, 허강 답사조사를 행하였다. 『쓰루오카』는 허강 소재의 여러 탄광에서 이루어지던 자립된 문화 활동을 집약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주로 목판화, 시, 하이쿠, 벽소설(壁小説), 보고문학, 흑판신문(黒板報), 중국어작품의 번역 등이 게재되었다. 이들 텍스트를 통해 잡지가 당시 노동자 사상 교육의 장으로서 기능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주된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중국인들과의 연대를 강조하거나, 1950년대 일본 내지에서 진행 중이었던 여러 문화적 표현과의 호응 또는 내지의 미디어언론과의 네트워크를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돌격대의 정당성을 호소하는 한편, 돌격대의 급진적인 사상과 이에 동화하지 못한 사람들 사이에 생기기 시작한 균열을 드러내는 텍스트도 존재하였다.
  구(舊)만주,허강탄광,유용자(留用者),쓰루오카,동북건설돌격대(東北建設突撃隊),The Ryūyōsha (留用者),Tōhokukensetsu-totsugekitai(東北建設突撃隊)  , Former Manchuria,The Hegang mines,Tsuruoka

The Japanese Ryūyōsha in Former Manchuria and Their Postwar Expression : Focusing on the Magazine Tsuruok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ultural activities of Japanese laborers detained in Hegang (鶴崗), a local city of former Manchuria, after the end of the AsiaPacific War. As the first step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s the literary texts that appeared in the Tsuruoka(ツルオカ), a magazine published by the Japanese workers who worked in the Hegang mines from the end of the war to the early 1950s. In addition, interviews with the people involved in the Tōhokukensetsutotsugekitai(東北建設突撃隊), a storm troop foundational to the publication of the Tsuruoka, have been conducted along with a field investigation in Hegang. Trusuoka played the role of integrating the different cultural movements at a number of coalmines. The texts that appeared in the magazine varied in style and format. Most of them concerned woodprint, poetry, haiku(俳句), kabeshōsetsu(壁小説), reportage, blackboard newspaper (黒板報, hēibǎnbào), and translations of Chinese literary works. Through these texts, it became clear that the magazine was expect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ideological education of laborers. Among the texts were those that underlined solidarity with Chinese people and showed linkage between various cultural expressions in and outside of Japan in the 1950s. Furthermore, some of the work can be observed to present the struggle between the storm troop and the people who found it hard to assimilate with troop’s radical ideological direction while other works show an obvious intention to justify it.

坪井秀人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国際日本文化研究センター) 교수)

Download PDF list